심장내과(Cadiovascular medicine)
-
부정맥 진단 (2) 심전기생리검사(EPS) 검사방법심장내과(Cadiovascular medicine) 2019. 11. 18. 11:39
심전기생리검사 (EPS, Electro Physiological Study) 심전기생리검사는 정맥을 통해서 가느다란 전선같은 전극도자를 심장안에 넣은 후 심장에서 생기는 전기의 흐름을 기록하고 심장에 자극을 가하여 자극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여 부정맥의 종류와 부정맥의 원인을 밝혀내는 검사이다. * 준비사항 ① 시행전 심전도검사를 한다. ② Labo(Cadiac maker)를 시행하고, Fluid 를 Lt. arm에 유지한다. ③ Both inguinal site를 면도한다. ④ 자정부터 금식하도록한다. ⑤ 복용하는 약 - 당뇨약은 시행후 금식이 해지 된후 복용한다. - 고혈압 치료제, 협심증약, 콜레스테롤약은 복용한다. - B-blocker 는 입원전 투약중지해야하며, 기존에 먹는 부정맥약은 상의 후에 ..
-
실신(Syncope) (2) 기립경사검사(Tilt- test) 검사방법심장내과(Cadiovascular medicine) 2019. 11. 16. 13:25
기립 경사 검사 (Tilt test) 원인 불명이 실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이다. * 검사방법 ① 수평에서부터 90도까지 각도가 조절되는 검사대를 이용하여 시행하는 검사이다. ② 교감신경을 자극하는 약물을 투여하여 실신의 유발 여부를 관찰한다. ③ 경사 검사대 위해 누운 상태에서 검사대를 70~80도로 세운 후 혈압과 심장박동의 변화와 실신의 유발 유무를 관찰한다. ④ 실신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검사 도중 오심구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공복상태에서 시행해야한다. ⑤ 검사는 30분~60분 정도 소요된다. ⑥ 검사 후 집에 가는 도중 실신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당일에는 가급적 운전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 결과해석 - Positive) 검사도중 혈압이나 심장박동의 변화가 있은 경우를 ..
-
미주신경성 실신(syncope) (1) 원인, 진단, 치료심장내과(Cadiovascular medicine) 2019. 11. 14. 12:41
실신 (syncope) # 실신이란? 갑작스럽게 의식을 잃고 쓰려졌으나, 스스로 곧 깨어나 정상적으로 회복되는 경우를 말한다. 모든 연령에서 발생 가능하며 특별한 기저질환이 없어도 발생할 수 있다. # 실신의 원인 ① 미주신경성실신 몸안의 신경계통을 자동적으로 조절해주는 자율신경계의 조절이 잘 안되는 경우로 기저질환이 없는 사람에게도 발생할 수 있다. 드라마에서 충격을 받고 쓰러지는 장면은 이에 해당하며 긴장이 심하게 되어 교감신경계가 흥분되어 있는 상황에서 뒤따라 일어나는 부교감신경계의 흥분으로 혈관이 모두 확장되거나 심장이 느리게 뛰게 되어 뇌로 가는 피가 부족해져서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② 심장질환 심장질환 중 가장 흔한 원인은 부정맥이다. 부정맥이 생기면 심장 박동에 이상이 생기고, 심장 박동의..
-
부정맥(Arrhythmia) (1) 정의, 원인, 증상심장내과(Cadiovascular medicine) 2019. 11. 12. 10:19
부정맥 (Arrhythmia) 심장은 전기 자극이 가해져야 수축이 일어나고 이로써 피를 온 몸안에 뿜어낼 수 있다. 심장은 전기를 스스로 만들어서 심장이 뛰게 만들어주는 조직이 있어 그 조직에서 만들어진 전기 자극에 의해 분당 60~100회의 빠르기로 규칙적으로 뛰게되는 것이다. 부정맥이란 심장이 규칙적으로 뛰지 않는 것을 말한다. 심장 박동이나 맥박이 불규칙해지거나 분당 60회 미만으로 느려지거나 분당100회 이상으로 빨라지는 이상이 발생한다. 부정맥이 생기면 심장 박동에 이상이 생기고, 심장박동의 이상은 심장 기능의 이상으로 연결되게 된다. * 부정맥의 원인 전기자극을 제대로 만들어내지 못하거나 비정상적인 전기전극을 만들어내거나 전기자극은 제대로 줬으나 전도되는 과정에서 전기 전도로가 차단되거나 비정..
-
운동부하검사(Treadmil test) (1) 검사방법심장내과(Cadiovascular medicine) 2019. 11. 10. 11:11
운동부하검사 (Treadmil test) * 목적 ① 운동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부정맥을 발견하기 위해 시행한다. ② 허혈성 심질환의 진단시 시행한다. (평소에는 발견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때 운동을 통해 유발시켜보기 위함이다) * 준비사항 -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으니 가능하면 식사를 하지 않고 뛰는 것이 좋다. - 검사 전 편안한 복장을 입고 오도록 한다. * 검사방법 ① 팔에는 협압계를 달고, 가슴에는 심전도를 붙인 상태에서 벨트(런닝머신) 위를 달리면 된다. ② 일정한 간격으로 벨트가 돌아가는 속도가 빨라지며 경사가 급해지게 된다. ③ 보통 검사시간은 30분정도 소요된다. ④ 중요한것은 항상 검사를 하는 동안에 부정맥이 나타나거나 흉통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응급상황에 대한 대비를 한 후 시행해야한다.
-
Cardiac CT (심장 CT) (1) 목적 , 준비방법, 주의사항심장내과(Cadiovascular medicine) 2019. 10. 27. 09:30
Cardiac CT # 목적 1. 질환의 유무, 질환의 성격 및 범위, 치료의 효과 등을 자세히 알아 볼 수 있는 검사이다. 2. 가슴통증(Chest pain)이 있는 환자인 경우 CT를 통해 lesion을 확인할 수 있다. # 검사 전 준비 1. 최소 4시간 이상 NPO 유지 2. 조영제를 주사하여 촬영하기 때문에 IV line을 확보한다. 3. 심박동수(heart rate)가 60회/min 이상인 경우 영상의 이미지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심박동수를 60회/min 미만으로 유지하도록 해야한다. → A-fib 환자의 경우 상의가 필요하다. → 심박동수 조절약물 B-blocker나 CCB 등을 사용하여 조절하며 약으로 조절이 안 될 경우 injection 약물로 조절하기도 한다. # 주의사항 - 조영제를..
-
심초음파검사(2D-echo, echocardiography) (1) 목적, 준비사항심장내과(Cadiovascular medicine) 2019. 10. 12. 12:40
Echocardiography # 목적 심장 초음파는 심장의 구조, 판막의 기형유무, 심근의 허혈, pericardial effusion 등을 진단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검사이다. # 준비사항 검사에 특별한 준비는 필요 없는데 환자가 초음파를 하는 30-40분 동안 lateral position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TEE (Trans-esophageal echogram) 경식도심장초음파. 초음파내시경을 경구적으로 식도에 넣어 심장을 식도에서 관찰하는 검사이다. # 준비사항 ① 적어도 4-6시간 이상 금식한다. ② 연하곤란, 인후부 통증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식도조영술 등을 먼저 시행한다. ③ 인공판막이 있는 환자 등과 같이 심내막염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 검사 30분 전에 미리 항생제를 투..
-
24hr holter M.(홀터검사, 24시간 심전도검사) (1) 목적, 방법, 간호심장내과(Cadiovascular medicine) 2019. 10. 12. 00:10
" 목적 " ① 환자의 임상증상(호흡곤란, 흉통, 어지러움 등)과 부정맥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한다. ② 인공 심박동기 삽입 환자에게서 조율기의 정상 작동여부 확인을 위해 시행한다. ③ 부정맥 환자들을 대상으로 EPS indication이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행한다. ④ 평소 monitoring 으로는 부정맥을 확인하기 어려울 때 사용한다. " 방법 " 24시간동안 Holter M.를 몸에 부착하고 식사, 산보, TV 시청, 수면 등의 활동 양상과 현기증, 흉통, 실신, 심계항진 등과 같은 연관성 있는 증상들도 기록하도록 설명한다. 부정맥 증상이 나타났을 시 그 기간이나 횟수도 함께 수첩에 기록하도록 한다. " 간호 " ① 심전도 기록지의 전기적 신호를 방해 할 수 있는 전기도구의 사용, 목욕..